“미국·중국, 말레이시아서 무역협상 재개… 긴장완화 시도”

옴니우스 입니다



미·중 무역협상 

Kuala Lumpur 개최 

– 관세·기술·희토류 

담판이 던지는 수출국의 

과제,,

전통적인 무역관계 틀이 흔들리고 있다. ‘자유무역’ 또는 ‘관세철폐’라는 오래된 패러다임이 이제는 ‘관세·기술수출제한·전략자원 공급망’이라는 새로운 논의 무대 위에 올라섰다. 그 최전선에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미국)과 Ministry of Commer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중국)의 무역협상이 있다.


미중 해빙무드로 전환하나


1. 협상의 현장: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미·중 담판

2025년 10월 말,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양국의 고위관계자들이 만나 무역협상을 시작했다. 양국 측은 **“매우 건설적(very constructive)”**이었다는 공동 발표를 내놓았다. 

협상 의제는 단순한 관세율 조정에 그치지 않는다. 주요 의제는 다음과 같다:

  • 관세 및 추가관세 부과 가능성 (tariffs)
  • 미국 소프트웨어·기술 수출제한(tech export controls)
  • 중국의 희토류(Rare earths)·마그넷(magnets) 등 전략자원의 공급망(supply chain) 통제

특히 중국이 희토류·마그넷 수출을 무기화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공급망에서의 이 자원의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이번 협상은 단지 무역 규모의 문제가 아닌 기술·자원·안보가 복합된 **지정학적 무역전쟁(geo-economic trade conflict)**의 국면으로 읽혀진다. 


미중 말래시이아서 5차 무역회담


2. 왜 한국과 같은 수출 중심국이 주목해야 하나?

한국은 수출 주도형 경제체다. 따라서 미국·중국 두 강대국의 담판이 갖는 의미는 단순히 ‘무역환경’ 변화일 뿐 아니라 한국 기업의 **공급망 리스크 (supply-chain risk)****수출전략 변화**라는 실질적 과제를 던진다.

– 미국이 기술수출제한을 강화하면 한국의 반도체·전자부품·IT 장비 산업이 직격탄을 받을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은 미국 기술이나 설계에 의존하는 부품을 중국 내에서 조립하거나 수출하는 구조가 많다. 만약 미국이 ‘미국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제품’에 대한 수출을 제한할 경우, 한국 기업의 대중국 수출 또는 중국을 경유한 글로벌 공급망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중국이 희토류 공급을 통제하면, 한국 기업이 사용하는 소재(영구자석, 모터코어 등)의 수급 불확실성이 커지고 그 결과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이는 한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 저하**로 직결한다.


미중 무역협상 재게


3. 건설적 담판이지만 ‘전술적 저점’일 뿐이라는 경고

협상 표면상으로는 긍정적이나 한 무역전문가는 이렇게 평가했다: “이번 담판이 분쟁을 완전히 해소해주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전술적 저점(tactical floor)’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이는 다시 말해, 양국 간 갈등이 일단 급격히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는 있지만, 본질적 구조적 리스크가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실제 협상 본문과 조건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며, 향후 양국 지도자가 참여하는 APEC 정상회담 전까지 기술적·관리적 협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관세 인상 가능성, 기술수출제한 확대, 희토류 통제 재개 등의 **리스크 플레임(risk frame)** 자체가 그대로 존재한다.


4. 한국 기업·정책담당자가 준비해야 할 체크리스트

이런 흐름 속에서 한국 기업과 정부가 체크해야 할 실질적 과제들을 정리해본다:

  • **공급망 재점검 및 다변화 전략** – 미국·중국에 과도하게 집중된 공급·생산 구조를 재검토하고, 동남아·인도·유럽 등으로 대체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 **소재·부품 내재화 강화** – 희토류·마그넷 같은 전략자원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국내역량 강화 혹은 제3국 공급망 구축을 추진해야 한다.
  • **무역·기술 규제 리스크 시나리오 설정** – 관세 재개, 기술수출제한 강화, 공급망 단절 등을 가정한 시나리오별 대응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 **수출시장 다변화 및 가치사슬 고도화** – 미국·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고부가가치 설계·소재·시스템 중심의 가치사슬로 전환해야 한다.

미중국 무역협상


5. 결론: 시험대 위에 선 수출국의 전략

쿠알라룸푸르 무역협상은 분명히 긍정적 신호다. 다만 그 신호가 구조적 평화(Structural peace)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이 협상이 **전술적 단계(tactical phase)**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한국과 같은 수출 중심국은 **비용과 리스크, 경쟁력의 선순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전통적 수출모델이 흔들리고 있는 지금, 한국 기업과 정책담당자들은 고개를 들어 물어야 한다. “우리는 미국-중국이라는 두 강대국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급망 리스크와 기술·자원 규제 리스크에 얼마나 대비되어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이 앞으로 한국 수출의 방향성과 Competitiveness를 가를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