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 — 디커플링 우려"

옴니우스 입니다



중국 희토류 

수출 규제 확대, 

미·중 무역전선한층 

격화,,


– 희토류 수출 규제, 공포 조장 반박, 글로벌 공급망 충격까지…그 배경과 파장을 살펴본다


미.중 제2관세전쟁


1. 배경: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확대

최근 중국 정부는 희토류(rare-earth elements) 및 희토류 자석(rare-earth magnets) 등 핵심 원자재의 수출 허가 절차를 강화하고 있다. 이 조치는 2025년 10월 들어 더욱 뚜렷해졌으며, 9 월 중국발 희토류 자석의 수출량이 전월 대비 약 6.1% 감소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중국이 이처럼 희토류 수출 규제를 확대하는 배경에는 기술 자립, 전략물자 통제, 그리고 무역협상의 카드화 가능성이 거론된다. 예컨대 중국은 “자국 희토류 산업 보호” 및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전략적 우위 확보”를 위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 미국의 반응: “공포 조장” vs. 디커플링 경고

미국 정부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를 두고 강도 높은 반응을 보였다. 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과 Jamieson Greer 무역대표부장은 이 조치를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권력 장악(power grab)”이라고 규정하며, 중국을 향해 “공포 조장(hype) 행위”라는 비판까지 제기했다. 

동시에 미국 측에서는 중국과의 기술·무역 디커플링(decoupling)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Bessent 장관은 “중국이 신뢰할 수 없는 공급자라는 인식이 강화된다면 디커플링은 피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에 중국 측은 반박을 내놨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와 수출 통제 확대를 겨냥해 “미국이 공포를 조장하고 있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희토류 수출 규제


3. 글로벌 공급망 충격 가능성: 왜 중요한가?

희토류는 스마트폰, 전기차 배터리, 풍력발전, 국방장비 등 고급 제조업 전반에 필수적인 원자재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채굴·정련·자석생산 분야에서 압도적 점유를 보유하고 있으며, 약 70%의 채굴, 90% 이상의 정련 물량을 책임지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공급 우위가 규제를 통해 흔들릴 경우, 글로벌 산업체인은 크게 흔들릴 수 있다. 실제로 서구 기업들은 “공급망 붕괴(supply-chain chaos)”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전통적 관점에서는 한 국가가 주요 원자재에 대한 지배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 리스크였지만, 지금은 그 리스크가 직접적으로 기술·산업 경쟁과 금융시장까지 파급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4. 무역 전선 격화: 중국 vs 미국, 그 이상의 확장

이번 규제 확대는 단순한 무역 문제를 넘어 전략 자산(controlled resources) 경쟁으로 확대된다. 중국은 이번 조치가 “국가 주권 및 자원 보호” 차원이라고 주장하고, 미국은 “시장 왜곡 및 전략적 억압”으로 분석하고 있다.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무역·기술·공급망이 얽힌 새로운 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예컨대 미국은 중국산 희토류에 대한 의존을 줄이기 위해 전략광물(stockpiling) 확보, 동맹국과의 공급망 다변화(friend-shoring)를 추진 중이다. 

이 같은 변화는 아시아-태평양,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한 중견국 및 수출국 입장에서는 새로운 지정학적·무역적 리스크가 등장한 셈이다.


협의 관측


5. 향후 기업 및 투자자 전략 포인트

엔지니어이자 경제 블로거로 활동하시는 옴니우스님께 드리는 전략적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 공급망 리스크 점검 – 기업이나 산업이 중국산 희토류 및 자석에 얼마나 의존하는지 확인하고, 원재료 조달처 다변화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 원자재 가격 및 대체 공급망 주시 – 희토류 수출 규제가 강화되면 중·장기적으로 가격 상승 또는 공급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주식 및 원자재 펀드를 검토할 만하다.
  • 기술 독립과 자국 역량 강화 – 국가·기업 모두 핵심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자립화 흐름을 가속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기술투자 및 전략제휴도 고려해야 한다.
  • 정책 리스크 및 지정학 변수 대비 – 규제 강화나 무역 갈등이 언제든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리스크 헤지 차원에서 포트폴리오의 분산 및 유동성 확보가 중요하다.

중국산 수입끊을 수도


6. 결론 – 지정학적 원자재 전쟁의 시대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확대와 미국의 강경 반응은 단순한 무역 갈등이 아니라, “지정학적 원자재 전쟁(resource war)”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열어가고 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무역과 관세를 중심으로 산업을 분석했지만, 지금은 원자재·공급망·기술패권이라는 삼각축이 함께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앞으로는 “어디서 만들고, 어떤 재료를 쓰며, 누구와 거래하느냐”가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이 되는 시대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이 향후 흐름을 보다 냉철히 바라보고, 실질적 전략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