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환 보유고 10년 만에 최고 ...대만은 6천억달러 첫돌파
중국 외환 보유고
10년 만에 최고…
대만은 6천억 달러
첫 돌파,,
글로벌 금융 흐름 속에서 나타난 두 나라의 외환자산 기록 경신, 그 뒤에 숨은 전략과 리스크를 들여다본다.
| 중국 외환 보유액 2개월 연속 증가 |
외환보유고란 무엇인가?
외환보유고(Foreign Exchange Reserves)는 국가가 보유한 외국 통화, 외국 채권, 금(金) 등 외화 자산을 말합니다. 왜 국가들은 대규모 외환보유고를 쌓을까요? 그것은 환율 안정을 유지하고, 대외 충격이나 금융 위기에 대응하는 완충 재정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중앙은행은 필요시 외환시장에 개입해 달러나 기타 통화를 사고파는 방식으로 자국 통화의 급등·급락을 완화합니다. 따라서 외환보유고는 한 나라의 통화 정책 안정성과 국제 신인도의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 미 국체 줄이는 중국 |
중국, 10년 만에 외환보유고 최고치 기록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2025년 9월 말 기준 외환보유고가 3조 3,387억 달러**로 집계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약 165억 달러 증가한 수치이며,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특히 중국은 최근 11개월 연속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으며, 금 보유량도 함께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배경에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위안화 표시 금융자산의 매력 상승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외환자산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과 환율 변동 대응 정책도 외환보유고 증액의 핵심 요소로 지목됩니다.
대만, 외환보유고 사상 첫 6천억 달러 돌파
대만 중앙은행은 **2025년 9월 말 기준 외환보유고가 6,029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사상 최초로 6천억 달러를 돌파한 기록이며, 전월 대비 약 55억1,000만 달러 증가한 수치입니다.
대만 중앙은행은 이 증가를 포트폴리오 운용 수익 증가, 주요 통화 대비 달러화 환율 변화, 환율 안정 개입 등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했습니다. 특히 글로벌 AI 투자 열풍과 금리 인하 기대감이 대만 금융시장으로의 자본 유입을 촉진한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무역전쟁 필승카드 달러 |
이 기록이 의미하는 바
중국과 대만 모두 외환보유고 기록을 경신한 것은 단순한 자산 증식만은 아닙니다. 이를 통해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이 드러납니다:
- 외환보유고 복원력 강화: 대외 충격, 환율 변동성 확대 시 대응 여력 확보
- 금 보유 확대 전략: 중국이 금 보유량을 연속 확대하며 외환 자산의 안전성과 다양성을 추구
- 자본 유입 및 투자환경 유인: 대만의 경우 AI 투자 등 테크 섹터의 성장과 자본 유입이 외환 증가로 이어진 점
- 환율 안정 및 통화 신뢰도 제고: 외환보유고가 많은 국가는 통화 정책 운영에서 더 유연성을 가질 수 있음
하지만 이러한 기록이 늘 긍정적 의미만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외환보유고 증가는 비용과 리스크도 동반합니다.
| 보유액 3위로 |
리스크 요인과 한계
외환보유고를 늘리는 전략은 다음과 같은 위험을 내포합니다:
- 자산 운용 손실 위험: 보유 외환 자산은 환율 변동과 금리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 비용 부담 증가: 외환 자산을 관리하는 비용 — 금 보관 비용, 환전 비용, 운용비용 등이 발생한다.
- 환율 리스크 역효과: 외환보유고가 크다고 해서 무한히 안정적인 것은 아니며, 잘못된 환율 개입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 자본 비효율 논란: 과도한 외환보유는 국내 투자나 생산적인 자본 활용 기회를 놓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지금처럼 글로벌 금융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에는 외환보유고의 구성과 운용 전략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 4조달러 역대 최고치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