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증가세 한풀 꺾였다지만…은행 주담대 여진 계속 [머니뭐니]
7월 5대 은행 가계대출
4조 원↑ — 금융당국
“9월부터 안정화 전망”
2025년 7월, 국내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이 4조1386억 원 증가하며 여전히 높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전월(6월)의 증가폭(약 6조8000억 원)과 비교해 약 60% 수준으로 축소된 수치이지만, 여전히 정책당국과 금융권의 우려를 자아내는 흐름입니다.
| 가계부체 빨간불 |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대출 증가 주도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의 급증입니다. 7월 한 달간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4조5452억 원이나 늘었으며, 이는 전체 가계대출 증가분을 초과하는 규모입니다. 결과적으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 부문은 일부 상환 흐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처럼 주담대가 집중적으로 증가한 배경에는 대출 규제 시행 이전 계약 건의 실행 수요가 남아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5월~6월 중 계약을 체결한 부동산 거래가 7월 중순까지 대거 대출 실행으로 이어졌고, DSR 규제 적용 전에 대출을 마무리하려는 수요가 반영된 것입니다.
증가폭은 축소…금융위 “9월 이후 안정화 예상”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번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는 완만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7월 들어 대출 승인 기준 강화 및 신규 규제 적용으로 가계대출 증가폭은 다소 둔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8월 중순까지 남은 이연 수요가 해소되고 나면, 9월부터 본격적인 가계부채 안정화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고정금리 상품 유도와 주담대 분할상환 확산 등의 정책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2년만에 최대폭 상승 |
정책 방향과 시장 영향
2025년 하반기, 정부의 금융정책 방향은 “가계부채 안정화”를 가장 우선순위에 두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 대출 문턱 조정, 금리 유도 정책 등이 단계적으로 시행 중이며, 9월 이후에는 실질적인 대출 감소 전환 여부가 중요한 정책 성과로 주목받을 것입니다.
특히 부동산 시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주담대 한도 조정과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강화는 향후 부동산 수요에도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서울·수도권의 중저가 아파트 수요가 여전히 높지만, 대출 규제에 따른 자금 조달 부담 증가로 일부 지역은 관망세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요약 포인트
- 7월 가계대출: 5대 은행 기준 4조1386억 원 증가
- 주택담보대출: 4조5452억 원 증가 — 규제 전 계약 건의 대출 실행 집중
- 대출 증가폭: 전월 대비 60% 수준으로 축소
- 금융당국 전망: 9월부터 가계대출 안정화 예상
- 시장 영향: 부동산 수요, 금리 정책, 대출규제 연계 고려 필요
결론: 부동산 대출과 금융규제, 지금은 ‘전환기’
지금은 가계부채와 주택담보대출 시장의 전환점이라 볼 수 있는 시기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규제 전 이연 수요로 인해 대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정부의 규제 정책과 대출 문턱 상승이 금융시장의 구조적 안정을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출을 고려하는 개인은 금리 변동, 규제 일정, 만기 구조 등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필수이며, 향후 몇 개월이 향후 주택시장 및 금융 소비자 심리를 결정할 중요한 시기가 될 것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