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방법론 확장 전략" 하이브, 가을께 인구 세계 1위 인도 법인 설립…
하이브, 인도 진출 초읽기 — 모험인가, 기회인가?
하이브(주가 코드 352820, BTS 소속사)가 **2025년 하반기(9~10월)**를 목표로 인도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인구 14억의 거대 시장에 K‑팝의 성장 모델을 현지화해 **‘K‑pop 방법론’**을 수출하려는 방시혁 의장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행보입니다.
1️⃣ 멀티 홈·멀티 장르 전략의 핵심
방시혁 의장은 하이브 성장의 핵심 전략으로 **‘멀티 홈, 멀티 장르’**를 직접 지휘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 지역의 문화와 특성에 맞춘 음악 콘텐츠 생산으로 현지 시장에서 리딩 아티스트·기획사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입니다. 이러한 현지화 전략은 미국, 라틴 아메리카, 일본 등에서 이미 성과를 거두었고, 이번 인도 진출은 그 연장선입니다.
2️⃣ 이미 입증된 글로벌 확장 사례
-
미국 시장 진출
2021년 이타카 홀딩스를 인수하고, 게펜 레코드와 합작법인을 설립한 뒤 **하이브 아메리카의 걸그룹 ‘KATSEYE’**는 데뷔 1년 만에 **빌보드 ‘핫100’**에 진입하며 현지화 전략의 성공을 입증했습니다 -
라틴 아메리카와 일본에서도 성과
2023년부터 남미에 ‘HYBE Latin America’를 설립해 멕시코 TV 방송사 텔레문도와 밴드 오디션을 진행 중이며, 일본에서도 ‘&TEAM’에 이어 보이그룹 Aoen이 올해 데뷔했습니다
이처럼 이미 구축한 거점을 바탕으로 기획·육성 시스템 + 현지 네트워크 + IP 제작 역량을 접목해 글로벌 시장을 확대 중입니다.
3️⃣ 인도가 하이브에게 주는 의미
-
인구 14억과 젊은 층 인구 비율
중앙값 약 28세인 인도는 음악 콘텐츠 소비가 왕성한 젊은층이 다수이며, 극적인 성장세의 엔터테인먼트 시장으로 평가됩니다. -
콘텐츠+콘서트 인프라 확대 기대
콜드플레이, 저스틴 비버 등 글로벌 스타들의 인도 공연이 성공적으로 개최되는 등, 라이브 공연에 대한 준비 및 기반도 갖춰지고 있어, K‑pop 콘서트 개최 가능성도 주목되고 있습니다. -
현지 인재 육성과 협업 가능성
'K‑pop 프로듀싱 방식'을 인도 시장에 맞춰 적용하며, 현지 오디션·연습생 시스템·팬덤 기반 슈퍼 IP 창출 전략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4️⃣ 향후 기대 효과와 과제
기대 효과
-
BTS·SEVENTEEN·TXT 등 K‑pop 그룹의 인도 공연에 대한 팬 기대감 고조
-
인도 아티스트 발굴과 글로벌 협업 가능성 확대
-
인도 시장 내 슈퍼스타 모델 창출, 글로벌 IP 경쟁력 강화
과제 및 리스크
-
다양한 인도 문화권과 언어에 맞춘 콘텐츠 현지화 필요
-
인도 내 유통체계와 공연 허브 구축, 인프라와 팬덤 문화 확산이 관건
-
경쟁 심화 및 현지 경쟁사와의 대립, 현지 문화 정체성과의 조화
5️⃣ 결론 — 글로벌 음악 판도의 지각변동
하이브의 인도 진출은 단순한 거점 확장이 아니라 글로벌 ‘K‑pop 방법론’의 범세계화 시도입니다. 방시혁 의장은 이를 통해 **‘K‑pop은 장르가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이자 IP 전략이다’**라는 비전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현재 방시혁 의장과 주요 경영진이 해외에서 땀 흘려 구축한 인프라와 네트워크는, BTS 등의 IP를 넘어 K‑pop의 총체적 시스템을 세계 시장에 뿌리 내리는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인도 시장 진출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글로벌 음악 시장의 판도는 ‘빅3’ 중심 구조에서 K‑pop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