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이 벌써 1억3000만원 됐다"…사두면 돈 되는 투자 뭐길래
하반기 최우수 펀드는?
10대 자산운용사 대표가
꼽은 3대 투자처,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 대표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하반기에는 ① 국내 주식, ② 국내 고배당주, ③ 미국 기술주 세 분야가 가장 유망한 투자처로 선택됐다
1. 국내 주식 일반형 – 장기 투자에 기본
-
KODEX 200 ETF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로, 시장 전체 상승 흐름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평가받았다 -
VIP 한국형 가치투자 펀드
저평가 우량주에 집중함으로써 깊이 있는 가격 회복을 노리는 전략.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목표로 한다
2. 국내 고배당주 – 안정적 인컴 추구형
-
신영 고배당 펀드
2007년 설정 이후 올해만 32.2%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고배당 투자 매력도를 두 번 추천받았다 -
KB RISE 코리아금융고배당, 한화 PLUS 고배당주, KIWOOM 고배당 ETF
금융주 중심으로 배당 매력이 높은 종목에 투자해 꾸준한 현금흐름을 추구하며 중립적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겨냥
최근 정부의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과 배당소득 분리과세 개정 등이 진행되면서, 국내 고배당주에 대한 수급·관심 확대가 예상된다
3. 미국 기술주 및 AI 관련 주식 – 성장성과 모멘텀
-
KODEX 미국AI테크TOP10,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AI 관련 선도 기업 10곳에 투자하거나, 펀드매니저가 나스닥 100 기업 중 AI·기술 중심 종목을 발굴해 집중 투자
AI는 단기 테마가 아닌 산업 전반의 구조적 변화 동인으로, 장기 성장성이 유효하며 글로벌 AI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 기술주의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연계 유망 전략 – 테마형 ETF & 월배당 상품
-
SOL KEDI메가테크, PLUS K방산, 하나 K-ing 수출주 펀드 등 테마형 상품도 추천 목록에 포함되며, 산업 트렌드·국가 전략 테마 투자가 유효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월배당 ETF: 월단위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상품으로, 예금금리 하락 시기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문가 추천 요약
핵심 포인트
-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주주환원 정책 강화 등 국내 정책 변화가 배당주 투자 흐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
-
AI 중심의 미국 기술주는 중장기 성장 기회. 단기 테마가 아닌 구조적 산업 변화 투자로 분류됨.
-
테마형 ETF는 반도체, 방산, 수출 중심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회복에 따른 기대 반영.
-
월배당형 ETF는 국내 금리 하락 시기에도 안정적 현금 흐름 수단으로 각광.
마무리
하반기는 국내 주식시장과의 연계 및 글로벌 성장 산업 투자가 핵심이 될 전망이다. 특히 배당주와 AI·기술주는 정책 흐름과 글로벌 산업 변화라는 두 축에서 투자 타이밍을 잡을 좋은 기회다.
-
안정 수익형: 국내 고배당 ETF & 가치투자 펀드
-
성장형: 미국 AI·기술주 ETF & 테마형 상품
-
인컴형: 월배당 ETF로 ‘현금 수익 창출’
이 글은 한국경제·아시아경제 설문, ETF 동향 및 정책 흐름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KODEX 200, 고배당 ETF, AI·나스닥 ETF
-
하반기 유망 펀드, 월배당 ETF, 정책 수혜주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