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불평등

안녕하세요 옴니우스 입니다



자산불평등: 한국 사회의 구조적 도전과 정책적 대응

한국 사회에서 자산불평등은 단순한 경제적 격차를 넘어 세대 간 이동성과 사회 통합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중심의 자산 축적 구조는 자산 보유 여부에 따라 삶의 질과 기회의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조와 불평등

2021년 기준으로 한국 가계의 평균 자산은 약 5억 원이며, 이 중 부동산자산이 약 3.7억 원으로 전체 자산의 73.1%를 차지합니다. 특히 거주주택 자산은 전체 자산의 45.5%에 달합니다. 이러한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조는 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 자산 격차를 크게 벌어지게 합니다.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의 평균 자산은 6.6억 원으로, 전세 거주 가구(4.6억 원)나 월세 거주 가구(1.4억 원)보다 현저히 높습니다. 

또한, 주택 가격 상승은 자산 보유자에게는 자산 증식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무주택자에게는 주거비 부담 증가와 자산 축적의 어려움을 가중시킵니다. 이러한 구조는 자산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세대 간 자산 이전과 불평등의 고착화

자산 불평등은 세대 간 이전을 통해 더욱 고착화되고 있습니다. 부모 세대의 자산이 자녀 세대의 자산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교육, 직업 선택, 주거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회의 격차로 이어집니다. 특히 주택 보유 여부는 세대 간에 재생산되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사회적 이동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주택 증여 수는 13.7만 호로 전체 주택 거래 중 8.5%를 차지하며, 이는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세대 간 자산 이전은 자산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됩니다. 



 자산 불평등의 지표와 구조적 요인

자산 불평등은 지니계수를 통해 측정되며, 2021년 기준으로 총자산의 지니계수는 0.5836, 금융자산은 0.6402, 실물자산은 0.6491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부동산자산의 지니계수는 0.6655로 가장 높아, 부동산이 자산 불평등의 주요 원인임을 보여줍니다. 

또한, 부동산 자산의 불평등 기여도는 74.6%에 달하며, 이는 거주주택 자산(37.4%)과 거주주택 이외 자산(37.2%)의 기여도가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부동산 자산의 보유 여부와 유형이 자산 불평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산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적 대응

자산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1. 조세 정책 강화: 양도소득세의 공제와 감면을 제한하고, 상속세와 증여세에 급격한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자산 이전에 대한 과세를 강화해야 합니다.

  2. 공공주택 공급 확대: 저소득층과 청년층을 위한 공공주택 공급을 확대하여 주거 안정성을 높이고, 자산 축적의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3. 금융 접근성 개선: 저소득층과 저자산층을 위한 금융 지원을 확대하여 자산 형성의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4. 부동산 시장 안정화: 부동산 시장의 투기적 수요를 억제하고, 실수요 중심의 시장 구조를 형성하여 자산 불평등을 완화해야 합니다.



 결론

자산 불평등은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조와 세대 간 자산 이전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평등은 사회적 이동성을 제한하고,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며,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자산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적 대응이 시급히 필요합니다.